자막 / 영상 / 소리 가 다 따로 놉니다. 어떤 부분이 잘못된 것인지 궁금하네요..강좌에서랑 틀린 부분은 강좌에서는 Microsoft MPEG-4 Video Codec V3인데 제가 설치한 부분에는 그게 없네요..그래서 제일 마지막에 있는 Xvid MPEG-4 Codec 으로 했는데 소리 하고 영상 하고 자막이 다 따로 놉니다...-_- 무엇이 문제 일까요...?
352x240 352x240 TextSub 2.23 [D:\] 가 제꺼엔 없는데... 더블클릭해도 휑 비어서 나오구,
Microsoft MPEG-4 Video Codec V1
Microsoft MPEG-4 Video Codec V2
Microsoft MPEG-4 Video Codec V3
도 없는데........ 그래서그런지, 막 아무렇게나해서 저장해도 자막 붙어서 5밖에 안돼는..
고수분들 ㅇ ㅓ찌좀 해주셔요ㅠ
compression 목록에 MPEG 가 없어서 최신버전 지우고 강좌버전 깔았는데 마찬가지군요. 애슬론64라서 64bit 패치하니까 실행도 안되는거보니 윈도우랑 호환안되는거 같고. 뭐 microsoft MPEG-4 로 시작하는 자체가 없는 분이 저말고 또 있는듯하고.. 부분적으로 있는 분도 보이고.. 저와 같은 경우엔 변환 시작할때 재생시간과 비례해서 용량이 어느정도 들어맞는 게 있는지 일일이 돌려보는 수 밖에. 그다지 어려운건 없는데 코덱마다 시간차이가 좀 있군요.
/ 아싸라비오님, 감솨님, 그외 인코딩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분들께 /
동영상 인코딩하는데 시간 걸리는 이유는 아래와 같은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 자신의 컴퓨터 사양에 따라 인코딩 시간이 다릅니다. 당연히 연산 속도가 빠른 최신 CPU라면 시간이 단축됨.
2. 인코딩시에 사용하는 코덱의 종류에 따라서 인코딩 시간이 다릅니다. 대충 예를 들면
DivX -> XviD -> DX50 -> H264 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인코딩 시간이 늘어납니다.(대신에 화질이 좋아집니다.)
3. 인코딩 걸어두고 다른 작업을 함께 병행하면 작업시간이 부지기수로 늘어납니다. 인코딩 시엔 다른 작업하지 말기를 권합니다. 3시간 걸릴 것 작업 병행하면 6시간 7시간 걸리는 수도 있음.
4. 최신형 CPU의 경우엔 엄청 인코딩시간이 단축됩니다.
펜티엄2, 펜티엄3 급 정도의 구사양에서는 인코딩 시간이 최신형 CPU가 장착된 컴퓨터에 비해 거의 2~3배의 인코딩 시간이 듭니다.
자신이 직접 찍은 동영상이라면 필요하면 어쩔 수 없이 시간 들여서라도 용도에 맞게 인코딩하셔야 겠지만, 최신형 컴 아닌 분들은 그냥 다른 분이 인코딩해두신 동영상 받아서 보시는 걸로 만족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괜한 시간 낭비입니다. 클럽박스 같은 동영상 공유하는 전문 박스나 클럽에 가입하셔서 약간의 돈을 투자해서 다른 분들이 인코딩해둔 동영상을 다운받아서 즐기는 게 스스로의 시간을 알차게 관리하는 비결입니다.
동영상 인코딩을 전문적으로 하고 싶으신 분들은 위의 글들과는 해당 사항이 없는 분들이니, 괜한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동영상 관련 초보 분들을 위해 작성해둔 글일 뿐입니다.
너무나 많은 글들이 있어서 이것저것 다운 받아해봤는데 내용을 모르고 따라만 할려니 너무나 많은 정보들이 있더라구요...딱 이글을 읽고 성공했습니다... 이왕이면 코덱이 뭔지 프로그램에 이런 것들이 왜 필요한지 알면 더 좋을 텐데요 여하튼 감사합니다 ....지금 잘 리코딩 되고 있어요 히히
저기요!! 강좌대로 하라는 대로 다 하고 인코딩도 다 잘 완성되었어요 그런데요 어찌된건지 곰플레이어로 재생하려고 하니까 소리가 안나오네요?? 이것은 어찌하면 좋을까요?? 바닥프로그램보다 버추얼덥이 훨씬 화질도 좋고 깨지는 것도 없는것 같아서 좋은데요!! 소리가 안나오네요ㅠ ㅠ 제발!! 어떻게 해야 소리도 나오게 할수 있을지... 설명좀 자세히 해주세요..ㅠ 강좌대로 하라는 대로 했지만...ㅠ 소리가 안나와요... 제발 제발!! 소리 나올 수 있게 설명좀 부탁드립니다...ㅠ 코덱박스 덕분에 그래도 인코딩 잘되고~>ㅁ< 화질도 좋고~ 설명도 잘되있어서 좋네요!!ㅋㅋ